[DB] DML(Data Mainpulation Language), where 조건절, binary(), md5
반응형
1. DML
- Data Mainpulation Language
- 데이터 조작어
- 실질적으로 데이터들을 CRUD 작업을 하는 언어 * CRUD ( Create, Read, Update, Delete )
데이터 추가 insert into 테이블명 [ (컬럼명1, 컬럼명2, ...) ] values(값1, 값2, ...);insert- 위에 owner 테이블처럼 테이블명 뒤에 컬럼명이 안 오는 경우는 무조건적으로 모든 컬럼에 대응하는 값을 넣어줘야 한다. - 자식이 부모테이블의 컬럼을 참조하는 외래키를 가지고 있다면 부모 테이블에 있는 컬럼 값을 넣어줘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오류가 발생한다.
데이터 삭제 delete from 테이블명 where 조건절;delete
데이터 수정 update 테이블명 set 컬럼명 = 새로운값 where 조건식;update- null과 관련된 비교는 컬럼명 = null로 비교하면 안 된다. - 컬럼 is null 또는 컬럼 is not null로 해야 한다.
데이터 검색 select 컬럼명1, 컬럼명2, ... from 테이블명 where 조건식;select- 검색해서 나타내고 싶은 컬럼을 select와 from 사이에 적으면 된다. - 컬럼명 들어갈 자리에 * 가 들어간다는 것은 모든 것을 검색한다는 뜻이다.select- 각 검색할 컬럼에게 별칭을 줄 수 있다. - 띄어쓰기가 필요한 것이라면 " "(큰따옴표)로 묶어줘야 한다. - dual 테이블 : 간단한 값이나 연산의 결과를 검색하기 위해 쓰는 테이블
2. where 조건절
where 조건식
=
같다.
!=, <>
다르다.
and
두 조건식이 모두 참이면 참
or
두 조건식 중 하나라도 참이면 참
- where절은 뒤에 이어오는 조건에 맞는 것들에 맞게 구분해준다.
- 그래서 위에 있는 DML에 where절에 맞는 컬럼들을 검색하고 삭제하고 수정해주는 것이다.
where
- where 컬럼명 in (값1, 값2, ...) 를 하게 되면 in 안에 있는 값 중 하나라도 있는 것들을 보여준다. or과 같은 결과이다. - 컬럼명 between 값1 and 값2 : 컬럼의 값이 값1 이상 값2 이하인 것들을 보여준다. and와 같은 결과이다.
3. 실습
실습 1실습 2
4. binary(), md5
binary() - MySQL에서는 기본적으로 대소문자를 구별하지 않고 비교를 한다. 하지만 오라클은 = 로 그냥 대소문자를 구별해준다. - 그래서 binary() 안에다가 조건을 쓰면 대소문자를 구별하면서 비교를 한다.
md5() - md5() : 단방향 암호화 함수이며 mysql 내부적으로 제공하는 함수이다. - 비밀번호나 중요한 것을 암호화를 통해 저장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