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S Study

    [네트워크] WebSocket (ws/wss)

    1. 웹소켓(WebSocket)웹소켓(WebSocket)의 등장 배경초기의 인터넷 통신 방식은 주로 HTTP 를 이용한 클라이언트(요청) - 서버(응답) 모델을 통해 진행했지만 HTTP 방식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는 데에는 한계점이 있음클라이언트는 항상 새로운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을 하기 위해서는 서버에 지속적으로 요청을 보낼 수 밖에 없음그렇게 되면 트래픽을 불필요하게 증가시키고, 이로 인해 서버의 비용이 증가될 뿐더러 요청과 응답사이의 지연시간이 있기 때문에 실시간 통신의 효율성을 저하시킬 수 있는 단점이 있기에 웹소켓이 등장함웹소켓(WebSocket)이란?https://tadaktadak-it.tistory.com/186 [네트워크] TCP 통신1. TCP/IP 프로토콜TCP/IP는 인터넷 ..

    [네트워크] HTTP/HTTPS

    1.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란 웹상에서 서버/클라이언트 모델을 따라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프로토콜 데이터는 HTML뿐만이 아닌 평문, JSON 등 다양한 포맷이 가능 서버/클라이언트 간의 연결을 유지하기 위한 리소스를 줄여 많은 연결을 할 수 있도록 비연결적인 특징을 갖도록 설계 81번 포트를 기본적으로 사용TCP/IP 위에서 작동HTTP는 애플리케이션 레벨의 프로토콜로 TCP/IP 위에서 작동TCP/IP 위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연결의 시작과 끝은 TCP 연결과 해제가 이루어짐TCP/IP랑은 다르게 무상태성이며 비연결성 특성을 가짐HTTP의 무상태성(Stateless)서버는 응답 메세지를 반환한 후에..

    [네트워크] TCP 통신

    1. TCP/IP 프로토콜TCP/IP는 인터넷 통신 시 실제로 사용하는 표준 모델전송 계층으로 응용 계층으로부터 메시지를 받아 패킷으로 캡슐화하여 전송패킷 :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형식화된 데이터 덩어리OSI 7계층-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컴퓨터 네트워크 프로토콜 디자인과 통신을 계층으로 나누어 설명하기 위해 개발한 모델TCP/IP 4계층- 현재의 인터넷에서 컴퓨터들이 서로 정보를 주고받는데 쓰이는 프로토콜의 모음OSI 모델을 기반으로 실제 사용될 수 있도록 단순화된 모델 2.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3-way, 4-way handshake 과정을 통해 데이터를 신뢰성 있게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토콜TCP 통신는 밑에 순서를 ..

    [네트워크] OSI 7계층 및 TCP/IP 계층

    1. OSI 7계층 OSI (Open Systems Interconnection)네트워크에서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나눈 것컴퓨터 네트워크 프로토콜 디자인과 통신을 계층으로 나누어 설명하기 위해 개발한 모델흐름을 한눈에 알아보기 편하고, 통신 과정에서 이상이 생겼을 때 다른 계층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건드리지 않고 문제가 생긴 계층만 살펴보면 되기 때문에 에러를 고치는데 용이OSI 7계층을 통해 본 데이터 송/수신캡슐화 과정송신 호스트가 수신 호스트에게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면 응용 계층부터 물리 계층까지 각 계층의 프로토콜 특성에 대한 정보가 담긴 헤더를 포함하여 데이터 이동역캡슐화 과정이 데이터가 물리 계층에서 다시 수신 호스트에게 가기까지 각 층의 프로토콜 정보를 털어냄2. TCP/IP..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