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JSP(Java Server Page)
- HTML을 중심으로 자바와 같이 연동하여 사용하는 웹 언어
- HTML 코드 안에 JAVA 코드를 작성할 수 있음
- JSP 파일은 뷰단이 아니라 JSP로 인해 만들어진 HTML이 뷰단이다.
- JSP 파일이 번역이 되면 서블릿 코드로 바뀌게 되고 그 서블릿 클래스가 컴파일이 되면서 HTML이 응답으로 나오게 되는 것이다.
* JSP와 서블릿(Servlet)의 차이
- 서블릿은 HTML 틀을 만들어 데이터까지 넣어준 다음에 정적으로 만들어 응답을 해주는 것이다.
- 반면에 JSP는 데이터만 정적으로 만들어 응답을 해주고 그 데이터의 위치에 맞게 응답 쪽에 있는 HTML에 위치시키는 것이다.
2. 스크립트 태그
- HTML 코드에 자바 코드를 넣어 프로그램이 수행하는 기능을 구현
- 선언문(declaration)
<%! %>
- 자바 변수나 메소드를 선언, 정의하는 데 사용하는 태그 - 스크립틀릿(scriptlet)
<% %>
- 자바 변수 선언 및 자바 로직 코드를 작성하는 게 사용하는 태그 - 표현문(expression)
<%= %>
- 변수, 계산식, 메소드 호출의 리턴 값 등을 표현해주는 태그
- HTML 문서 안에 작성한 값이 그대로 표현, 타입은 문자열
- <%! %> 선언문에서 변수나 메소드를 선언할 수 있는데 그럴 수 있는 이유는 서블릿 자체가 클래스 이기 때문에 전역 부분으로 변수나 메소드를 선언할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서블릿 클래스 영역이므로 소스코드를 작성할 수 없다.
- <% %> 스크립틀릿은 자바 코드를 쓸 수 있는데 위처럼 화면에 쓰고 싶은 내용을 반복적으로 쓰고 싶을 때 for문을 이용해 out.print를 사용하면 된다. 결국 JSP가 서블릿으로 변역 되기 때문에 가능하다.
- JSP 주석은 <%-- --%>를 사용하면 된다.
- <%= %> 표현문은 변수 값이나 메소드의 반환 값을 HTML에 표현해준다. <%=a %>는 out.print(a)랑 같기 때문에 세미콜론을 포함해서 사용할 수 없다.
- 아까 전처럼 <% %> for문을 이용해 out.print()를 사용해서 HTML에 표현했는데, 이것 외에도 <% %>을 여러 개로 나눠서도 표현 가능하다.
- 결국 서블릿으로 바뀌면 out.print()로 바뀌기 때문에 섞어서 사용 가능하다.
'웹개발 > JSP'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P] 쿠키(Cookie) (0) | 2022.05.22 |
---|---|
[JSP] 내장 객체, Form 유효성 검사 및 예제 (0) | 2022.05.22 |
[JSP] 액션 태그 (0) | 2022.05.20 |
[JSP] 디렉티브 태그(Directive Tag) (0) | 2022.05.20 |
[JSP] 서블릿(Servlet) (0) | 2022.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