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분산 DB
- 정의
- 여러 곳으로 분산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하나의 가상 시스템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데이터베이스
- 논리적으로 동일한 시스템에 속하지만,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물리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데이터들의 모임
- 과거에는 위치 중심이었으나 현재는 업무 필요에 따라 분산 설계
- 설계 방식
- 상향식 : 지역 스키마 작성 후 전역 스키마 작성
- 하향식 : 전역 스키마 작성 후 지역사상 스키마 작성
- 장단점
2. 분산 DB의 투명성
- 분위지중장병행
- 분할 투명성 : 하나의 논리적 관계가 분할되어 각 다년의 사본이 여러 사이트에 저장됨
- 위치 투명성: 사용하려는 데이터 저장 장소가 명시되지 않아도 됨
- 지역사상 투명성: 지역 DBMS와 물리적 DB 사이의 사상이 보장됨
- 중복 투명성: DB 객체 중복 여부를 몰라도 됨
- 장애 투명성: 구성요소(DBMS, 컴퓨터)의 장애에 무관하게 트랜잭션의 원자성이 유지됨
- 병행 투명성: 다수의 트랜잭션을 동시 수행했을 때 결과의 일관성이 유지됨 병렬 아님
3. 분산 DB 적용 기법
- 테이블 위치 분산
- 설계된 테이블의 위치를 분산함
- 테이블 분할 분산
- 수평분할
- 수직분할
- 테이블 복제 분산
- 부분복제
- 광역복제
- 데이블 요약 분산
- 분석요약 : 사이트 별 요약정보를 본사에서 통합하여 전체 요약정보 산출
- 통합요약 : 사이트 별 정보를 본사에서 통합하여 전체 요약정보 산출
반응형
'SQLD > 1과목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SQLD]Ⅰ- 2장 데이터 모델링과 성능 - 5절 데이터베이스 구조와 성능 (0) | 2022.03.28 |
---|---|
[SQLD]Ⅰ- 2장 데이터 모델링과 성능 - 4절 대량 데이터에 따른 성능 (0) | 2022.03.24 |
[SQLD]Ⅰ- 2장 데이터 모델링과 성능 - 3절 반정규화와 성능 (0) | 2022.03.24 |
[SQLD]Ⅰ- 2장 데이터 모델링과 성능 - 2절 정규화와 성능 (0) | 2022.03.23 |
[SQLD]Ⅰ- 2장 데이터 모델링과 성능 - 1절 성능 데이터 모델링의 개요 (0) | 2022.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