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JavaScript

    [JavaScript] JavaScript 함수

    https://tadaktadak-it.tistory.com/78?category=1024177 [JavaScript] 함수(function) 1. 함수(function) - 자바 스크립트에서는 함수도 하나의 값 - 따라서 함수를 변수에 대입할 수 있음 - 다른 함수 내에 중첩되어 정의할 수 있음 함수 선언 방법 function 함수명(매개변수1, 매개변수2, . tadaktadak-it.tistory.com 1. 함수(function) - 어떤 기능을 하는 코드들을 재사용하기 위해 한곳에 모아 처리하는 곳 - 매개변수라는 입력 값을 받아 무언가 처리하고 출력 값을 처리 함수 생성 및 사용(호출) function statement 함수 선언문 function 함수명(매개변수) { 실행 할 코드 } 기본 ..

    [JavaScript] JavaScript 배열

    https://tadaktadak-it.tistory.com/77?category=1024177 [JavaScript] 배열(Array), 빠른 for문 1. 배열(Array) - 배열 요소의 타입이 고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같은 배열에 있는 배열 요소끼리의 타입이 서로 달라도 됨 - 배열 요소의 인덱스가 연속적이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특정 배열의 방이 tadaktadak-it.tistory.com 1. 배열 - 하나의 값만 저장하는 변수를 확장하여 여러개의 저장 공간을 만드는 방법 - 자바스크립트에서는 배열을 객체를 이용해 만드는 컬렉션 자료구조 - 하나의 배열에 여러 개의 타입을 넣어줄 수 있음 배열 선언 var arr = new Array(); var arr = []; 배열 선언과 동시 초기화 va..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조건문(삼항연산자), 반복문

    1. 조건문 * 특정 조건(조건식)에 의해 참(true) 또는 거짓(false)일 경우에 따라서 분기 처리하여 명령(코드)을 실행하는 것 조건문 종류 - if else : 만약 조건이 참이라면 아래에 문장을 실행 - switch : 이 경우 해당하는 케이스로 이동하여 실행 - 삼항연산자 : 이 조건이 맞니 ? 참이면 여기 : 거짓이면 여기를 실행 2. 조건문 - if else 문 * if, else if 문 즉, if가 있는 부분에 조건식을 넣고 조건식이 참이면 {} 안의 코드를 실행 * 앞 조건이 만족하지 않으면 else 문을 실행 * else if 문은 갯수 제한이 없으며, else if, else 조건문은 생략 가능 기본 문법 if(조건식) { // 조건이 참이면 아래 문장 실행 실행문... } e..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연산자

    * 자료형, 형변화, 연산자 참조 https://tadaktadak-it.tistory.com/75?category=1024177 [JavaScript] 자료형, 형변환, 연산자, NaN 1. 자료형(값의 타입) - 자바 스크립트에서는 변수의 타입은 따로 없고 값의 타입만 있다. 숫자(Number) - 정수와 실수를 구분하지 않음 문자열(String) - 큰 따옴표와 작은 따옴표의 차이가 없음 불린( tadaktadak-it.tistory.com 1. 자바스크립트 연산자 산술연산자 + 덧셈, - 뺄셈, * 곱셈, / 나누기, % 나머지 문자열연산자 - 문자열 + 문자열, 숫자 + 문자열, 문자열 + 숫자 ... 문자열 + ... - 무조건 문자열로 결과값 나옴 증감연산자 - 숫자를 1 or n 씩 증가(..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변수, 자료형

    1. 자바스크립트 변수 변수 - 프로그램에서 값을 저장하기 위한 하나의 메모리 공간 - 일반적으로 값을 저장하는 것을 할당, 값을 읽어오는 것을 참조라고 함 - 변수 선언 : 변수를 생성 - 변수 초기화 : 변수에 값을 저장 - 변수 사용 : 변수에 있는 값을 사용 변수의 선언 - 값을 저장 및 사용하기 위해 메모리 공간(주소)를 생성하는 것 - 변수를 선언할 때 같은 이름으로 하면 문제가 생김 ex) var name; // name 이라는 변수 생성 ex) var text; // text 이라는 변수 생성 변수의 초기화(값 할당, 저장) - 선언한 메모리에 값을 할당(저장)하는 행위 ex) var name = "홍길동"; // 선언과 동시 초기화(할당) ex) name = "이순신"; // 변수에 값 ..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개요, 작성 방법, 출력

    HTML : 웹 페이지의 뼈대에 해당하는 웹 페이지의 구조를 정의 CSS : 웹 페이지의 외형에 해당하는 레이아웃 및 디자인을 변경 JavaScript : 웹 페이지의 두뇌에 해당하는 동적 기능을 추가하여 동작하도록 함 1. 자바스크립트(Javascript) 개요 * 정적인 HTML 웹 페이지의 제한적인 기능을 동적(click, edit)으로 변화시키는 웹 개발 언어 * 자바스크립트로 작성된 문서는 클라이언트에 그대로 전달되어 클라이언트에서 동작 특징 - 자바스크립트는 인터프리터 언어로 컴파일(자바, C 등)가 아니다. - 인터프리터 언어는 기본적으로 실행 직전에 코드를 읽어 바로 번역하여 동작한다. - 입력된 코드가 클라이언트에 그대로 전송되므로 실행시 클라이언트의 자원을 사용한다. - 자바스크립트 코..

    [JavaScript] jQuery

    1. jQuery - 요소들을 선택하는 강력한 방법을 제공하고, 선택된 요소들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해주는 자바 스크립트 라이브러리 - 자바에서 JVM 느낌 - 예전에는 스크립트가 자바스크립트 외에도 다양하게 많았기 때문에 브라우저마다 코드가 달랐다. - 그때 나온 게 jQuery인데 여기에 코드를 쓰면 jQuery가 각 브라우저에 맞게 알아서 변환시켜준다. - 지금은 자바스크립트가 표준이 되었기 때문에 안 쓰는 추세이지만 여러 개의 태그 객체를 가져와서 for문을 돌려 하나하나 스타일을 줄 때와 같은 불편함을 해결해 주는 데는 jQuery만큼 좋은 게 없다. - jQuery를 사용하면 순수 JavaScript에 비해 속도가 느려진다. - 하지만 간결한 문법으로 인해 개발 속도 증가와 처리비용 감..

    [JavaScript] DOM(문서 객체 모델), document 객체

    1. DOM(Document Object Model) - 문서 객체 모델(DOM : Document Object Model) - XML이나 HTML 문서에 접근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문서 내의 모든 요소를 정의하고 각각의 요소에 접근하는 방법을 제공 - 자바 스크립트에서 HTML을 접근하기 위해서는 DOM을 사용 2. document 객체 - 웹 페이지 그 자체를 의미 - 웹 페이지에 존재하는 HTML 요소에 접근하고자 할 때에는 반드시 document 객체부터 시작 3. document 메소드 HTML 요소 선택용 - getElementById("아이디명") : 해당 아이디를 가진 요소를 선택해서 객체로 가져오는 함수 - getElementsByTagName("태그명") : 해당 태그인 요소들을 선택해..

    [JavaScript] form 태그 접근, location 객체, history 객체

    1. form 태그 접근 - name으로 객체를 찾을 때(간단히) -> id명으로도 역시나 찾을 수 있다.(document.getElementById()) let frm = document.joinForm; let inputTag = frm.in1; intputTag.value; --> 입력값 - Form 태그 안에 입력값에 대해서 유효성 검사 목적으로 접근 2. location 객체 - 현재 브라우저에 표시된 HTML 문서의 주소를 얻거나, 브라우저의 새 문서를 불러올 때 사용 가능 - location 객체의 프로퍼티와 함수를 이용하면 현재 문서의 URL 주소를 다양하게 해석하여 처리할 수 있음 location.href - 현재 페이지 URL 정보가 담겨있는 프로퍼티 - 대입을 통해 새로운 문자열을 넣..

    [JavaScript] window 객체

    1. window 객체 - 웹 브라우저의 창(window)을 나타내는 객체로, 대부분의 웹 브라우저에서 지원 - 자바스크립트의 모든 객체, 전역함수, 전역변수들을 자동으로 window객체의 프로퍼티가 되고 window 객체의 메소드는 전역함수, window 객체의 프로퍼티는 전역변수가 됨 --> windows는 생략 가능 2. window.onload - on : ~할 때, onload(어떤 문서가 로딩될 때) window.onload = function() { 문서가 로딩된 이후에 호출할 문장 } - 스크립트 언어는 위에서 아래로 해석되기 때문에 DOM에서 HTML 요소를 추출할 때 body보다 위에 있다면 해석 순서에서 문제가 생길 수 있음 - 이 경우 자바 스클비트 문서를 밑으로 옮겨야 하는데, h..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