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전체 글

    [HTML] progress, 시맨틱 태그

    1. progress 태그 - 진행 정도를 나타내는 태그 - onclick은 자바스크립트로 버튼을 클릭했을 때 행동할 것을 정의한다. - id가 'pg'인 값을 증가하고 감소한다는 뜻으로 진행 버튼을 누르면 10을 증가시키고 감소 버튼을 누르면 10을 감소시켜 progress 태그에 나타내준다. 2. 시맨틱 태그 - HTML5에 도입된 시맨틱 태그는 개발자와 브라우저에게 의미를 가지는 태그를 제공 - 검색 엔진에 노출되고 싶으면 시맨틱 태그를 사용하는 것이 좋음 non-semantic 태그 내용 - 해당 태그 안에 들어가는 내용의 의미를 크게 유추하기 힘듦 semantic 태그 내용 - 특정 형태의 글이 포함될 것이라는 유추가 가능 3. 시맨틱 태그 종류 header 상단부 / 로고, 머릿말, 검색창, ..

    [HTML] form(input, textarae, select) 태그, fieldset, legend

    1. form 태그 - 웹 페이지 내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은 후 데이터를 모아서 다른 페이지로 전송할 때 사용하는 태그 여러 입력들(input, textarea, select ...) 2. input 태그 - 사용자에게 입력받기 위해 사용하는 태그로 form 태그 안에 속해 있는 태그 type 속성 그 외 속성들 예시 - method는 get과 post 방식이 있는데 get은 주소창에 데이터가 쓰여지고 post는 안 쓰여진다. - type을 생략하면 자동으로 text 타입이 된다. - radio에서 같은 세트로 하고 싶다면 name을 같게 해야 한다. 속성에 checked를 써주면 그 요소가 체크가 된 상태로 페이지가 시작한다. - checkbox는 중복 선택이 가능하다. 그리고 다른 name으로 ..

    [HTML] 페이지 책갈피, HTML 요소(block, inline), iframe(inline frame)

    1. 페이지 책갈피 - 현재 페이지에서 이동하고 싶은 부분으로 이동하는 법 - 요소에 id 속성을 이용해서 간단한 책갈피를 만들 수 있음 - 책갈피를 통해 가고 싶은 위치의 요소에 id 속성으로 특정한 문자열을 부여해주면 다른 태그에서 href에 가고 싶은 곳의 "#아이디명"으로 작성해 주며 클릭 시 그곳으로 이동함 2. HTML 요소 블록 레벨 요소 - 웹 페이지 상에 블록을 만들어지는 요소 - 코드상에 한 줄로 이어서 써도 앞뒤 요소 사이에 새로운 줄을 만들어주며 새로운 줄에서 요소가 시작됨 - 면의 특징 - display 속성 값이 block인 요소는 해당 라인 전체를 차지함 - 스타일을 임의로 부여하면 이어서 표현 가능 ex) p, h1 ~ h6, ol, ul, div ... 인라인 요소 - 블록..

    [HTML] 테이블 태그, hr 태그

    1. 테이블 - 표 내용 혹은 내용 내용 ... ... - tr : 행(table row) - th : 컬럼명, 컬럼제목(table header) - td : 열, 내용(table data) - 기본적으로 테이블을 만들면 테두리가 없다. 그래서 table 태그 속성에 border = "1"을 줘서 테두리를 만들어준다. - 이렇게 되면 th에서 테두리 하나, td에서 테두리 하나 그래서 테두리가 두겹이 되어 버린다. - 그렇기에 한겹이 되게 하기 위해서는 태그(CSS)를 이용해 border-collapse : collapse; 로 설정해주면 된다. * 태그는 가로줄을 긋게 해주는 태그이다. 2. 병합과 캡션 열 병합(좌우 칸 합치기) - 오른쪽에 있는 셀들을 개수만큼 잡아먹으며 병합 - colspan = ..

    [HTML] 단일 태그, HTML 태그(이미지 태그, 하이퍼링크)

    1. 단일 태그 - 빈 요소, void 요소(Empty Elements) 라고도 하며 여는 태그와 닫는 태그 사이가 없는 요소 - 주로 문서에 무언가를 첨부하기 위해 사용됨 2. 이미지 태그 웹 페이지에서 주로 사용되는 이미지의 종류 jpg(jpeg) - 휴대폰 사진, 카메라 사진, 배경 이미지 등 - 가장 널리 쓰이는 이미지 포맷 - 표현 색상(24비트, 약 1600만 색상)이 뛰어나 고해상도 표시장치에 적합 gif - 이미지 파일 내에 이미지 및 문자열 같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파일 - 여러 장의 이미지를 한개의 파일에 저장할 수 있음(움짤, 애니메이션) - 8비트(256색상) 컬러만 지원 png - gif의 대체 포맷으로 개발 - 8비트, 24비트 컬러 이미지 처리 - w3c 권장 포맷 - 알파..

    [HTML] HTML 제어문자, 태그(h, br, 서식 태그, 리스트 태그)

    1. HTML의 제어문자 > (greater than) & & (ampersand) " " 공백(띄어쓰기) (HTML은 공백을 아무리 쳐도 한번으로만 인식함) ⓒ © 2. 단락 태그(Paragraph Tag) - 단락이란 내용상 끊어서 구분할 수 있는 하나하나의 부분을 의미하고 문단이라고 부름 - 태그를 이용해서 단락을 표현 3. 태그와 태그 - 태그는 ~ 까지 있으며 제목을 표기할 때 사용하는 태그 - 태그는 디자인 때문에 쓰는 것이 아니라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 사용 - 태그는 HTML 줄바꿈 태그 4. 서식 태그 , 진하게 , 기울이기 형광처리 가로줄(중간) 밑줄 , 위첨자, 아래첨자 - , / , 의 차이는 웹 접근성에 따라 접근성에 더 중요한 것들을 / 으로 함 5. 리스트 태그 순서 없는 리스트..

    [HTML] HTML이란?

    1. HTML - HTML은 프로그래밍 언어가 아닌 마크업 언어 - 웹 페이지에서 다른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마크업 언어 - 마크업 언어란 우리가 보는 웹페이지가 어떻게 구조화되어있는지 표기해서 브라우저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하는 언어 (집의 골격 - 문의 개수, 창문 개수, ...) 2. HTML의 요소(태그) ①②Hello HTML!③ ① 여는 태그(Opening Tag) : 요소의 이름(p)과 열과 닫는 꺽쇠 괄호로 구성되어 있음 ② 내용(Content) : 단순한 텍스트 ③ 닫는 태그(Closing Tag) : 요소의 이름 앞에 /(슬래쉬)가 있다. - 위에 것들을 통틀어서 요소라고 함 - 요소의 이름은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지만 가독성에 있어서 소문자로 작성하는 것을 권장 내포된 요소(..

    [HTML] 인코딩(Encoding), www, 웹 표준(Web Standard), 웹 접근성

    1. 인코딩(Encoding) - 문자를 표현, 해석하기 위한 방식, 방법들 EUC-KR - 완성형, 만들어져 있는 완성된 글자를 찾아옴 - 가~힣 UTF-8 - 조합형, 글자를 만들기 위한 요소들을 하나씩 찾아와서 조합 - 힗 ㅎㅣㄹㅎ( * 실제로는 아님 ) 2. www(World Wide Web) - 인터넷에 연결된 전 세계 컴퓨터들을 통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정보 공간 - W3C(WWW Consortium) : WWW를 위한 표준을 제정하고 관리하는 중립적인 기관 3. 웹 표준(Web Standard)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 웹 페이지에서 다른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마크업 언어 - 마크업 언어란 태그 방법 체계를 의미하며 태그를 이용해서 문서나 데..

    [HTML] 웹(Web), 프로토콜(Protocol), 도메인(Domain)

    1. 웹 - 요청과 응답이 일어나는 장소 서버와 클라이언트 - 클라이언트 : 서버에게 자신이 원하는 요청을 보냄 - 서버 : 클라이언트에게 요청받은 서비스를 제공 HTTPD(Http Daemon) - 웹 서버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된 채 대기하고 있는 프로그램 - 요청이 들어오기를 대기하다가 실제로 요청이 들어오면 서버를 깨워줌 웹 컨테이너 - 클라이언트로부터 정적인 요청이 오면 서버에서 정적인 파일을 그냥 보내주면 됨 - 하지만 동적 요청이 오면 정적인 파일로부터 동적인 응답이 나올 수 없음, 그래서 웹 컨테이너 필요 - 동적인 데이터 요청(DB 접근 연산)이 들어왔을 때 서버가 연산을 요청하는 곳 - 이후 연산이 끝나면 정제된 데이터로 서버에 돌려줌 WAS(Web Application Server) - ..

    [JDBC] JDBC 기초, 구현

    1. JDBC - Java Database Connectivity - 자바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자바 API - 프로젝트를 MySQL과 연결하기 위해서는 MySQL에서 제공하는 설계도가 필요 그것이 Connecter J이고 이것을 항상 프로젝트의 Path에 넣어놔야 한다. 2. JAVA와 DB 1. 자바 클래스인 JDBCTest와 MySQL이 연결되기 위해서는 둘이 연결되는 다리가 필요하다. 그것이 Connection 클래스이다. 2. 자바에서 작성된 main()메소드 안에 있는 sql 명령문을 작성한 다리를 통해 MySQL로 전송을 해야 하는데 그 택배차 역할을 하는 것이 PreparedStatement이다. 3. insert나 update등 반환할 것이 없는 것은 상관이 없지만 ..

반응형